[서론 논리 정리] Hybrid Robot-Assisted Frameworks for Endomicroscopy Scanning in Retinal Surgeries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9069297/
Hybrid Robot-Assisted Frameworks for Endomicroscopy Scanning in Retinal Surgeries
High-resolution real-time intraocular imaging of retina at the cellular level is very challenging due to the vulnerable and confined space within the eyeball as well as the limited availability of appropriate modalities. A probe-based confocal laser endomi
ieeexplore.ieee.org
[2020 IEEE TRANSACTIONS ON MEDICAL ROBOTICS AND BIONICS] Hybrid Robot-Assisted Frameworks for Endomicroscopy Scanning in Retinal Surgeries
[논리의 흐름 전개]
1. 눈에 대한 질명이 전세계적으로 발생중이다.
2. pCLE는 cellular-단위로 생물 조직을 이미징할 수 있는 광학 시각화 기술(optical visualization technique)이다.
3. pCLE을 사용해서 안구 내의 망막 스캔을한 사례가 몇몇 있다.
4. 7.5 mN 이하의 힘은 망막을 찢을 수 있기 때문에 non-contact 기반의 pCLE 시스템이 요구된다.
5. 선행 연구에서 눈의 각막에 in vivo 스캔을 한 사례가 있다.
6. pCLE 파이버 번들의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pCLE는 좁은 서브 밀리미터의 FoV를 갖고 있다.
7. 안구의 지름은 대략 23.5 mm라고 했을 때, pCLE로 부터 얻는 이미지 한 장은 매우 작은 영역이다.
8. 해결책으로는 모자이킹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다.
9. 하지만 모자이킹 알고리즘은 feature matching과 image stitching을 위해서 일관된 향상된 질의 이미지가 요구된다.
10. 마이크로 단위의 초점을 갖는 pCLE는 이미징을 손으로 할 때, 매우 어렵고 이는 이미지의 질을 상당히 떨어뜨릴 수 있다.
11. 한 예로 비접촉 pCLE 시스템은 최적의 초점 거리는 대략 700 um, 초점 범위는 200 um이다.
12. 사람의 손 떨림은 수백 um 이기 때문에 pCLE 프로브를 일관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13. 게다가 환자가 움직이기 때문에 사람의 손만으로 스캔하는 것은 더 어려울 것이다.
14. 이러한 어려움은 robot-assisted manipulation의 요구를 강조한다.
15. 하지만 대부분의 로봇 시스템은 안구에 쓰이기에 부적합하다.
16. 선행 연구 중 Handheld 디바이스에 경우 안구 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정교한 망막 조직을 스캔하는 것에 부적합하다.
17. 선행 연구 중 tracker 센서를 사용해서 비접촉 기반의 pCLE 시스템이 있는데, 이 시스템은 flat surface라고 가정했기 때문에 안구 내 스캔에는 부적합하다.
18. 따라서 실시간 pCLE 망막 스캐닝을 위한 본 논문에서는 semi-autonomous hybrid 접근법을 제안한다.